전체 글 310

설문지 코딩시 주의사항 추가

아래 내용도 옛날 상황이야기도 구글을 이용했다면 무시해도 되는 내용입니다.  1. 설문지 코딩을 하다 보면 응답을 안하거나 분명하게 체크를 안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경우 엑셀에서 빈칸으로 놔 두면 됩니다. 그러면 SPSS에서 자동으로 결측값으로 해석합니다. 이럴 경우 해당분석에서 케이스 별로 자동적으로 제외해서 분석합니다. 구조방정식의 경우 결측값이 있으면 AMOS에서 못 구하는 통계량이 있습니다. 그래서 결측값이 있는 케이스는 사전에 모두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조방정식을 하지 않는 경우는 결측값이 그냥 있어도 됩니다. 통계는 평균적인 경향을 보는 것이기 때문에 결측값이 좀 있다고 해서 큰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닙니다. SPSS에서는 결측값도 다양하게 구별해서 어떻게 코딩하라고 되어 있지만 전..

논문통계 해석

많은 분들이 통계 해석하는데 걱정들을 많이 하는데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1. 먼저 제일 먼저 걱정하는 것들이 t, F, X2 (카이제곱이라 읽습니다) 보면 겁을 냅니다. 겁을 낼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이것들은 통계학에서 나오는 분포들인데 통계 전공아닌 사람은 전혀 알 필요가 없습니다. 더구나 위의 분포는 흔히 정규분포와 같이 현실에서 관찰되는 분포도 아니고 통계 이론 전개상에서 나오는 완전한 이론적인 분포입니다(t 분포는 분포 꼬리가 두꺼워서 리스크 관리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통계을 전공하지 않은 분들은 이 분포에 대해서 전혀 알 필요가 없습니다. 2. 통계표에서 여러분이 알아야 할 것은 빈도, 백분율(%), 평균, 상관계수와 회귀계수, 그리고 그 부호, 그리고 p 값입니다. ..

설문지 코딩 시 주의 사항

전에는 주변의 직장 동료, 학생 등을 통해 직접 설문조사를 받았으나 요새는 대부분 구글을 이용하죠. 직접 설문조사를 하는 경우 설문지를 돌리고, 또 회수한 다음 엑셀 표로 전환을 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코딩한다고 합니다. 요새는 프로그램 하는 것을 코딩한다고 이야기들 많이 하지만요. 그리고 최근 구글을 이용하는 경우 코딩하는 과정이 없죠. 구글이 제시하는 엑셀 양식 그래도 보내 주시면 됩니다. 논문의 필요성에 맞게 데이터를 변형하는 것은 제가 알아서 할 겁니다.   아래 내용은 직접 설문조사를 하는 경우 이야기이니까 무시하셔도 됩니다.   설문지 코딩시 주의 사항입니다. 설문지 코딩이란 사람들이 설문지에 코딩한 것을 숫자로 옮기는 것을 말합니다. 통계프로그램은 안에서는 결국 수학 처리하는 프로그램이기 ..

논문 쓰기 주의점

1. 논문 욕심을 너무 가지면 안됩니다. 대부분 통계의뢰 하시는 분들이 특수 대학원, 즉 직장에 다니면서 학위과정을 밟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논문을 제대로 쓸 시간도 부족하고 젊은 시절보다 아무래도 머리가 팍팍 돌아가지는 않죠. 또 통계나 숫자만 봐도 미리가 아프고요. 논문을 제대로 쓰고, 또 앞으로 학계로 나가 계획이 아니면 논문에 대해 너무 과도한 욕심을 부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남들이 안하는 유별난 것, 특별한 것을 할 생각은 버리는 것이 좋다는 것이죠. 자치 잘못하면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학위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또 일찍이 논문 작업을 끝내서 서두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도 고생을 많이 할 수 있습니다. 작업은 일찍 끝내도 본인만 알고 있고, 가능하면 논문을 쓰..

논문유형

1. 논문은 크게 두가지 타입이 있습니다. 하나는 인문계열 논문에서 주로하는 문헌조사형태이고 하나는 사회계열 논문에서 자주하는 설문조사하여 통계분석하는 형태입니다. 간단히 문헌조사형, 설문지형으로 구별하겠습니다.   2. 일반인이 생각하는 것과 달리 일반적으로 문헌조사 논문이 힘들고 설문조사하여 통계분석하는 논문이 쓰기 쉽습니다. 문헌조사는 본인이 읽어야 하는 책과 논문의 양도 많지만 논문의 주제에 해당하는 논문 결론을 도출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즉 문헌조사를 근거로 기존에 이야기 되지 않는, 기존의 선행 연구에 없는 결론을 도출해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3. 한편 설문조사를 통하여 통계분석하는 경우 연구모형만 제대로 잡히면 그 다음은 일사천리로 진행이 될 수 있습니다. 연구모형의 경우 주로 연구대상 ..

논문일정

대부분의 학과에서의 논문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도교수와 논문주제 정하기   2. 논문제안(proposal): 학과 교수님 앞에서 앞으로 이런 주제의 논문을 쓰겠다고 발표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통과되어야 진짜 논문 쓰기 작업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 proposal 과정은 학교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엄격하게 행정적으로 처리하는 경우도 있고요, 이럴 경우 논문 proposal 용 서류 양식이 따로 있습니다. 행정적으로 엄격하게 하지 않은 경우는 과 교수님들이 비공식적으로 처리합니다. 또 어떤 경우는 proposal을 안하는 경우도 있고, 지도교수님이 과에서 무척 힘이 센 분이면 proposal은 형식적으로 처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통상 proposal은 통상 논문의 1장에 나오는 내용을 간략하..

연구모형의 종류입니다.

논문쓰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 연구모형 만드는 것입니다. 연구모형과 논문제목, 설문지 작성, 통계분석이 모두 일치가 되어야 합니다. 통상 논문은 문헌조사해서 통계없이 쓰는 논문이 있고요, 설문지나 통계자료 가지고 분석해서 쓰는 논문이 있습니다. 통계없이 쓰는 논문이 힘들고 설문지 돌려서 쓰는 논문이 제일 쉽습니다.  설문지 돌려서 쓰는 논문도 두가지 경우가 있는데 하나는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인과관계를 밝히는(검증하는) 논문이 있습니다. 현황을 분석하는 논문이 어렵고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논문이 쉽습니다. 그러나 학술적으로는 현황을 분석하는 논문은 가치를 낮게 평가합니다. 현황을 분석하는 것은 통상 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 많이 합니다. 예를 들어 방송사 사장 같으면 연예, 뉴스, 스프츠 이런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