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35

총선

1) 의대 정원 휴, 윤석열이 하는 꼬라지 보면. 갑자기 뜬금없이 의대 정원을 늘린다고 하죠. 통상 이런 정책은 사전에 의사 수가 심각하게 부족하다는 언론 기사들이 쏟아져 나와야 하는 것이 정상이라는 것이죠. 그런데 뜬금없이 몇 십년 동안 의대 정원이 늘어나지 않아서 정원을 늘린다는 것은 말이 안되죠. 대학 정원은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늘어날 수도 있고, 줄어 들 수도 있고, 아님 시대에 맞지 않으면 학과가 폐지 될 수도 있고, 새로운 학과가 신설 될 수도 있죠. 아니면 시대 변화에 따라 학과 이름도 바뀔 수도 있고요. 매년 의대 정원이 2000명 늘어나면 10년 후, 20년 후, 30년 후, 40년 후에는 의사 수가 어마어마하게 늘어납니다. 지금 의사와 의대생이 강력하게 반발하는 것도 어느 정도 타당한..

박사수준의 구조방정식 모형:조절효과, 다중집단분석

오늘은 박사수준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박사수준의 구조방정식 모형은 통상 석사수준의 구조방정식 모형에다 조절효과를 보는 것입니다. 여기서 조절효과를 본다는 것은 구조방정식 책에 있는 다중집단 분석을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우선 간단한 모형을 소개해보죠. A ==> B ==> C, 즉 독립변수 A, 매개변수 B, 종속변수 C가 있는 구조방정식 인과모형이 있다고 하죠. 여기에 조절변수 D를 끼워 넣는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지난번 석사수준의 구조방정식 소개 글처럼 A은 운동량, C는 몸무게, B는 식욕이라고 하죠. 그림으로 그리면 운동량, 식욕, 체중과의 인과관계의 결과가 남자와 여자인 경우 다를 수가 있고, 또 비만이 사람과 아닌 사람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남자와 여..

흔한 연구모형2: 석사수준의 구조방정식 모형

1. 연구모형이 왜 중요한가 연구모형 자체가 논문의 주제이고 연구가설이고 그리고 이를 한글로 풀어내면 논문의 제목이 됩니다. 예를 들어 연무고형에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가 있다고 하면 논문 제목은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매개변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또는 “독립변수가 매개변수를 매개로 종속변수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이렇게 논문제목을 답니다. 따라서 연구모형에 나오는 개념을 잘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2. 구조방정식 모형: 통상 연구모형에 매개변수가 들어가 있는 모형을 구조방정식 모형이라 합니다. 정확하게는 연구변수들간의 연립방정식 모형을 구조방정식이라 하지만 이런 내용은 너무 전문적이라 생략하고요. 이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려면 통상 AMOS라..

흔한 연구모형1: 석사수준 조절효과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연구모형을 한번 알아 보겠습니다. 석사 논문에서는 1) 조절효과를 보는 것 2) 구조방정식 모형에서는 독립변수 3-4개 , 매개변수 1개, 종속변수 1개 정도로 좀 간단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봅니다. 박사논문에서는 거의 다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하는데 이 경우 매개변수 2-3개 정도로 합니다. 그리고 조절효과를 보는 다중집단 분석을 같이 하고요. 물론 이런 인과관계를 보는 논문 말고 학과의 성격에 따라 실험의 효과를 보는 논문이 있습니다. 그럼 위에 언급한 모형을 조금 자세히 언급하겠습니다. 1) 조절효과를 보는 논문 연구모형 그림은 아래와 같습니다. 통상 이 경우에 Baron &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해야 한다고 하는데 그냥 회귀분석에 불과합니다. 연구모형에서 보듯이 연구변수..

문재인 정부의 통계 조작?

유튜브 알고리즘울 통해 민주당의 한준호인가 하는 친구가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이야기하면서 정부부처 사람을 완전히 까발리는 장면을 봤는데요. 국힘애들 이야기는 정부 부처인 부동산 평가원인가 하는 곳에서 발표하는 아파트 가격이 국민은행 등 민간이 내는 아파트 가격보다 보다 낮게 나온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이게 문재인 정부의 통계 조작이라는 것이죠. 그런에 한준호가 하는 민주당 친구 이야기는 애초에 통계 뽑는 방법이 다른다는 것이죠. 한쪽은 기하평균을 쓰고 한쪽은 산술평균을 썼다는 것이죠. 이걸 좀 본질적인 문제로 한번 생각해보죠. 대한민국 아파트 가격은 저 멀리 시골에 있는 1억도 안되는 아파트에서 강남의 100억에 가까운 아파트까지 수 많은 아파트 가격이 있다는 것이죠. 즉, 아파트 가격은 하나의 값이 ..

조절효과, 구조방정식 말고 논문주제로 할 수 있는 통계방법론

사회과학논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구방법론은 조절효과를 보는 Baron & Kenny(1986) 회귀분석이고요, 또 하나는 매개변수가 들어 있는 구조방정식 모형입니다. 이건 대부분 AMOS를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최근에는 Baron & Kenny 방식에서 발전된 프로세스 매크로도 가끔 사용합니다. 그럼 이것 말고 다른 통계 방법론이 없을까 하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위 방법론 등은 너무 흔해서요. 몇 가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교차분석(Crosstabs Analysis) 이건 빈도분석에서 발전한 분석인데 옛날 석사 수준에서 자주 사용한 방법입니다. Likert 척도가 아닌 범주형 자료를 분석할 때 자주 사용하고 주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을 ..

혼합모형으로 실험효과보기:시차t를 연속변수로 처리

이번에 쓸 이야기는 시차 t를 연속형 변수처럼 처리하는 경우입니다. 연속형 변수로 쓸 것이니까 시차를 ‘1차’, ‘2차’ 이렇게 문자열로 코딩하면 안되고 숫자 1, 2, 3 이렇게 코딩해야 합니다. 인터넷에 검색하면 혼합모형 쓰는 경우로 이 시차 t를 연속형으로 처리하는 예제가 많이 나옵니다. 만약 확률효과를 넣지 않으면, 즉 고정효과만 사용하면 이 모형은 독립변수가 시차 t인 단순회귀분석에 불과합니다. 물론 시간에 따라서 종속변수가 올라갔다 내려갔다 이렇게 변할 수 있습니다. 그럼 데이터에 t제곱, t3제곱 이런 변수를 만들어 회귀분석하면 됩니다. 그러나 시차 t가 상당히 커야 합니다. 단순히 시차 t 하나의 변수만 독립변수로 하는 경우랑, t, t제곱, t3제곱 이렇게 3개의 변수를 독립변수로 넣어 ..

혼합모형으로 실험효과보기2

혼합모형으로 실험효과를 볼 때 데이터 형태는 long format으로 해야 합니다. 패널데이타와 같은 모양입니다. 개체(subject) 집단 시차(time) Y X1 X2 A1 A 1 A1 A 2 A1 A 3 A2 A 1 A2 A 2 A2 A 3 A3 A 1 A3 A 2 A3 A 3 B1 B 1 B1 B 2 B! B 3 B2 B 1 B2 B 2 실험효과 데이터의 경우 개체는 주로 사람이나 동식물 등이 되지만 경영이나 경제 데이터에 많이 나오는 패널데이터의 경우 개체는 기업, 산업, 지역, 국가 등이 됩니다. 위 데이터에서 개체나 집단은 숫자 1, 2, 3 이렇게 표시해도 됩니다. 지난번 글에서 이야기했지만 실험의 상황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결과물의 해석을 주의해서 해야 합니다. 즉 분산분석표의 유의적이..

혼합모형으로 실험효과 보기1

지금까지 혼합모형에 대한 글은 혼합모형이라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 쓴 글이고 현실적으로 논문 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혼합모형이 논문 분석에 사용될 수 있는 분야는 실험효과 분석하는 부분입니다.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혼합모형에 관한 글은 예로서 병원, 학교, 또는 학급 같은 예로 많이들 설명하는데 이때 표본추출 방식은 군집표본으로 일반적인 논문 분석에는 맞지 않는 표본추출 방식입니다. 이런 표본추출은 많은 돈이 들어가는 정부나 기업들이 사용하는 있는 표본추출 방법입니다. 1) 흔히 실험의 효과를 볼 때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만들어 사전, 사후 값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집단 사전 Y1 사후 Y2 실험집단 통제집단 2) 위 방법이랑 비슷한 것 같지만 완전히 다른 실험이 있습..

설문데이타로 혼합모형 확률효과로 분석하기

오늘은 설문지 데이터를 가지고 확률효과를 넣은 혼합모형을 쓸 수 없을까 하는 문제를 다뤄 보겠습니다. 모형은 편의상 가장 단순한 단순회귀분석으로 하죠. 독립변수가 여러개 들어가는 다중회귀분석도 마찬가지입니다. 독립변수는 변혁적 리더십, 종속변수는 자기효능감입니다. 즉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그럼 모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기효능감=b0+b1*변혁적 리더십+오차 이걸 SPSS에서 회귀분석 메뉴에 가서 분석해도 되고 지난번 글에서 이야기했지만 혼합모형 메뉴에 가서 고정효과만 사용해서 분석해도 됩니다. 그럼 여기에 어떻게 하면 확률효과를 더 참가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입니다. 다음과 같이 하면 됩니다. 자기효능감=(b00+b01)+(b10+b11)*변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