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도타당도분석요인분석크론바알파/탐색적 요인분석 5

KMO와 Bartlett 카이제곱 구형성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결과표에 많이 제시하는 측정값으로 KMO 값과 Bartlett chi 제곱 구형성 검증이 있습니다. 오늘은 여기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이 2개의 값은 설문문항들의 상관계수 행렬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측정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좋으려면 각 측정문항의 상관계수 행렬이 독립적으로 나오면 안됩니다. 예를 들어 고객만족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문항 4개를 만들어서 설문응답자 200명에게 물어 봤다고 하죠.  이 설문문항 4개는 고객만족을 측정하려고 만든 문항이기 때문에 이 4개의 설문문항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아야 합니다. 만약 이 4개의 설문문항이 서로 독립적이라고 하면 이 4개의 설문문항은 고객만족이 아닌 각각 다른 의미의 변수를 측정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Bartlett 구..

Cronbach 알파값과 Communality

오늘은 Cronbach 알파값과 Communality에 대해서 쓰고 다음에는 ㆍKMO와 Bartelett 구형성 검증에 대해서 쓰기로 하죠.  1. Cronbach 알파값  옛날에는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할 때는 Cronbach 알파값만 주로 하였습니다. Cronbach 알파값은 측정도구의 타당도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지금은 Cronbach 알파값만 구하면 안됩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도 제시하고 Cronbach 알파값도 제시해야 합니다. 또 매개변수가 들어간 구조방정식을 하는 경우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 알파값과 더불어 확인적 요인분석까지 해야 합니다. 그냥 관행입니다.  만약 구조방정식을 하는데 AMOS를 사용하지 않고 회귀분석을 하는 프로세스 매크로를 쓰는 경우 확인적 요인분석을 ..

탐색적 요인분석: 실제 예, 요인점수, 군집분석, 인공지능

1. 실제 예 오늘은 탐색적 요인분석의 실제 예를 한번 보겠습니다. 소셜 미디아의 인플루언서의 특성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입니다. 소셜미디아는 한국에서 SNS라고 하죠. 한국에서만 쓰는 용어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아라고 하는 것이 나을 겁니다. 요새는 소셜 미디아 인플루언서를 이용하여 광고를 많이 합니다. 그래서 인플루언서의 어떤 특징이 광고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 보려고 하는 것입니디다. 인플루언서 특징의 하위변인으로 신뢰성, 전문성, 매력성으로 구분하고 신뢰성은 6문항, 전문성은 5문항, 매력성은 4문항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습니다. 1차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입니다. Component 1 2 3 신뢰1 .310 .808 .121 신뢰2 .292 .818 .150 신뢰3 .268 ..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전에 이 글을 올렸는데 사라져 버린 것 같네요. 다시 올립니다.    1.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해 우리나라 책을 몇 권 보면 Hair 책을 번역한 수준인 것 같습니다. 네 사람이 지은 책이죠. 책의 예제를 보면 이 사람들도 전부 경영학 교수인 것 같고요. 하여간 이 책은 수리적으로 명쾌하게 이야기 하지 않아서 읽기 매우 불편합니다.  그래도 그 책에 참고문헌이나 책 등이 있습니다. 그러면 거기에 나오는 참고문헌이나 논문은 읽고 책을 써야죠. 자기가 쓰고 자기가 이해도 못하면 이걸 어떻게 책으로 냅니까. 나중에 Hair 책과 Lattin 책에 나오는 내용으로 조금 정리해 보겠습니다. 저도 엄청 헷갈립니다. 그래서 설문도구 개발 논문 의뢰가 들어오면 학과에서 비슷한 내용으로 통과한 선행논문을 보내달라고 합니..

탐색적요인, 확인적 요인, 주성분분석

1.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해 우리나라 책을 몇 권 보면 Hair 책을 번역한 수준인 것 같습니다. 네 사람이 지은 책이죠. 책의 예제를 보면 이 사람들도 전부 경영학 교수인 것 같고요. 하여간 이 책은 수리적으로 명쾌하게 이야기 하지 않아서 읽기 매우 불편합니다.  그래도 그 책에 참고문헌이나 논문들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거기에 자세히 나와 있다. 이렇게 되어 있다는 것이죠.  그러면 이해가 안되면 최소한 거기에 나오는 참고문헌이나 논문은 읽고 책을 써야죠. 자기가 쓰고 자기가 이해도 못하면 이걸 어떻게 책으로 냅니까.  나중에 Hair 책과 Lattin 책에 나오는 내용으로 조금 정리해 보겠습니다. 저도 엄청 헷갈립니다. 그래서 설문도구 개발 논문 의뢰가 들어오면 학과에서 비슷한 내용으로 통과한 선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