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모형만들기 8

박사수준의 구조방정식 모형:조절효과, 다중집단분석

오늘은 박사수준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박사수준의 구조방정식 모형은 통상 석사수준의 구조방정식 모형에다 조절효과를 보는 것입니다. 여기서 조절효과를 본다는 것은 구조방정식 책에 있는 다중집단 분석을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우선 간단한 모형을 소개해보죠. A ==> B ==> C, 즉 독립변수 A, 매개변수 B, 종속변수 C가 있는 구조방정식 인과모형이 있다고 하죠. 여기에 조절변수 D를 끼워 넣는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지난번 석사수준의 구조방정식 소개 글처럼 A은 운동량, C는 몸무게, B는 식욕이라고 하죠. 그림으로 그리면 운동량, 식욕, 체중과의 인과관계의 결과가 남자와 여자인 경우 다를 수가 있고, 또 비만이 사람과 아닌 사람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남자와 여..

흔한 연구모형2: 석사수준의 구조방정식 모형

1. 연구모형이 왜 중요한가 연구모형 자체가 논문의 주제이고 연구가설이고 그리고 이를 한글로 풀어내면 논문의 제목이 됩니다. 예를 들어 연무고형에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가 있다고 하면 논문 제목은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매개변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또는 “독립변수가 매개변수를 매개로 종속변수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이렇게 논문제목을 답니다. 따라서 연구모형에 나오는 개념을 잘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2. 구조방정식 모형: 통상 연구모형에 매개변수가 들어가 있는 모형을 구조방정식 모형이라 합니다. 정확하게는 연구변수들간의 연립방정식 모형을 구조방정식이라 하지만 이런 내용은 너무 전문적이라 생략하고요. 이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려면 통상 AMOS라..

흔한 연구모형1: 석사수준 조절효과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연구모형을 한번 알아 보겠습니다. 석사 논문에서는 1) 조절효과를 보는 것 2) 구조방정식 모형에서는 독립변수 3-4개 , 매개변수 1개, 종속변수 1개 정도로 좀 간단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봅니다. 박사논문에서는 거의 다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하는데 이 경우 매개변수 2-3개 정도로 합니다. 그리고 조절효과를 보는 다중집단 분석을 같이 하고요. 물론 이런 인과관계를 보는 논문 말고 학과의 성격에 따라 실험의 효과를 보는 논문이 있습니다. 그럼 위에 언급한 모형을 조금 자세히 언급하겠습니다. 1) 조절효과를 보는 논문 연구모형 그림은 아래와 같습니다. 통상 이 경우에 Baron &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해야 한다고 하는데 그냥 회귀분석에 불과합니다. 연구모형에서 보듯이 연구변수..

조절효과, 구조방정식 말고 논문주제로 할 수 있는 통계방법론

사회과학논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구방법론은 조절효과를 보는 Baron & Kenny(1986) 회귀분석이고요, 또 하나는 매개변수가 들어 있는 구조방정식 모형입니다. 이건 대부분 AMOS를 이용하여 분석하는데 최근에는 Baron & Kenny 방식에서 발전된 프로세스 매크로도 가끔 사용합니다. 그럼 이것 말고 다른 통계 방법론이 없을까 하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위 방법론 등은 너무 흔해서요. 몇 가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교차분석(Crosstabs Analysis) 이건 빈도분석에서 발전한 분석인데 옛날 석사 수준에서 자주 사용한 방법입니다. Likert 척도가 아닌 범주형 자료를 분석할 때 자주 사용하고 주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을 ..

모형선택2

모델 선택 이론은 통계학과라고 해도 학부 통계에서는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요즘에도 그럴겁니다. 대학원 수준의 교재를 봐야 나오고 또 현실 분석에서는 거의 쓰지 않아서 그리 중요하게 다루지 않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많이 쓰는 구조방정식에서 이 모형선택이 여기 저기에 나옵니다. 그런데 시중에 나와 있는 책들이 통계 이론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써서 이게 모형선택을 하는 것이라는 것을 잘 몰라서 설명이 잘 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단 모형선택이라는 개념이 이런 것이다라는 정도만 이해를 하고 다음번에 구조방정식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한번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통계학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회귀분석의 경우를 생각해보죠. 종속변수가 Y, 독립변수가 X1, X2, X3, X4, X5가 있다고 하죠. 그..

모형선택1

오자 탈자 체크는 나중에 하겠습니다. 다시 모델 선택의 문제로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죠. 예를 들어 회귀분석을 한다고 하죠. 그럼 현실적인 사회과학 논문에서는 분석하고자 하는 변수, 즉 종속변수 Y를 선정하고, 이 Y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를 X1, X2, X3를 선정했다고 하죠. 예를 들어 이직의도 Y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경제적 스트레스 X1, 환경적 스트레스 X2, 인과관계 스트레스 X3 이렇게 잡아다고 하죠. 사회과학 논문에서는 SPSS에 종속변수로 이직의도를 잡고 독립변수에 경제적 스트레스 X1, 환경적 스트레스 X2, 인과관계 스트레스 X3을 선정해서 돌리면 됩니다. 그래서 나온 결과에서 유의적으로 나오면 가설이 채택되었다고 하고, 유의적으로 나오지 않으면 가설이 기각되었다고 판단하면 됩니..

모형선택(model selection)과 가설검증

오늘은 모형선택(model selection)과 가설검증에 관해서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어떤 분이 비밀 댓글로 조절효과에 관해서 물어 봤고, 거기에 대해 제가 답변을 했는데 아마 여러분은 비밀 댓글의 내용을 잘 몰라서 제 답변이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잘 모르실 것 같아서 글을 씁니다. 그리고 한번은 이 모형선택과 가설검증과의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기는 해야 하고요. 통계학에서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우리가 관찰한 데이터에 가장 적합한 모형을 선택하는 것인데 반해 응용분야 논문에서는 개별적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게 비슷하면서도 약간 다른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독립변수 X, 매개변수 M, 종속변수 Y가 있다고 해보죠. 그럼 완전매개 모형 Model1은 다음의 그림과 같고, 부분매개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