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모형만들기/대표적 연구모형 3

박사수준의 구조방정식 모형:조절효과, 다중집단분석

오늘은 박사수준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박사수준의 구조방정식 모형은 통상 석사수준의 구조방정식 모형에다 조절효과를 보는 것입니다. 여기서 조절효과를 본다는 것은 구조방정식 책에 있는 다중집단 분석을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우선 간단한 모형을 소개해보죠. A ==> B ==> C, 즉 독립변수 A, 매개변수 B, 종속변수 C가 있는 구조방정식 인과모형이 있다고 하죠. 여기에 조절변수 D를 끼워 넣는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지난번 석사수준의 구조방정식 소개 글처럼 A은 운동량, C는 몸무게, B는 식욕이라고 하죠. 그림으로 그리면 운동량, 식욕, 체중과의 인과관계의 결과가 남자와 여자인 경우 다를 수가 있고, 또 비만이 사람과 아닌 사람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남자와 여..

흔한 연구모형2: 석사수준의 구조방정식 모형

1. 연구모형이 왜 중요한가 연구모형 자체가 논문의 주제이고 연구가설이고 그리고 이를 한글로 풀어내면 논문의 제목이 됩니다. 예를 들어 연무고형에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가 있다고 하면 논문 제목은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매개변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또는 “독립변수가 매개변수를 매개로 종속변수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이렇게 논문제목을 답니다. 따라서 연구모형에 나오는 개념을 잘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2. 구조방정식 모형:  통상 연구모형에 매개변수가 들어가 있는 모형을 구조방정식 모형이라 합니다. 정확하게는 연구변수들간의 연립방정식 모형을 구조방정식이라 하지만 이런 내용은 너무 전문적이라 생략하고요. 이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려면 통상 AMO..

흔한 연구모형1: 석사수준 조절효과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연구모형을 한번 알아 보겠습니다. 석사 논문에서는  1) 조절효과를 보는 것 2) 구조방정식 모형에서는 독립변수 3-4개 , 매개변수 1개, 종속변수 1개 정도로 좀 간단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봅니다.   박사논문에서는  거의 다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하는데 이 경우 매개변수 2-3개 정도로 합니다. 그리고 조절효과를 보는 다중집단 분석을 같이 하고요.  물론 이런 인과관계를 보는 논문 말고 학과의 성격에 따라 실험의 효과를 보는 논문이 있습니다.   그럼 위에 언급한 모형을 조금 자세히 언급하겠습니다. 1) 조절효과를 보는 논문  연구모형 그림은 아래와 같습니다.   통상 이 경우에 Baron &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해야 한다고 하는데 그냥 회귀분석에 불과합니다.  연구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