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세스 매크로/프로세스 매크로 개념 3

프로세스 매크로1

프로세스 매크로에 대해 조금 더 이야기를 해보죠.  프로세스 매크로를 설치하면 SPSS 회귀분석 메뉴에 프로세스 매크로 메뉴가 따로 생성됩니다. 그래서 거길 클릭한 다음 종속변수, 독립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 등을 설정하고, 연구모형에 해당하는 모형 숫자를 지정하면 알아서 다 해줍니니다. 모형 숫자는 딸려 온 매뉴얼에 번호가 있습니다. 구조방정식 모든 인과관계에 조절효과가 있다고 가정하면 모형 번호가 59번입니다.  아래 그림 모형 59를 참조하세요.  1) 그림에서 조절변수 W를 이진변수로 하면 이땐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다중집단분석에 해당합니다.  2) 그림 중 위 그림은 흔히 연구방법론에서 그리는 연구모형 그림이고 아래 그림은 실제 회귀분석할 때 수학적 모형에 해당합니다. 매개변수를 빼면  Y=bo..

프로세스 매크로2

1. amos와 프로세스 매크로의 차이점 1) spss가 amos를 인수하여 요새는 같이 설치를 하지만 실제는 전혀 다른 프로그램입니다. 그러나 프로세스 매크로는 설치하면 spss안에서 하나의 메뉴로 설치됩니다. 회귀분석 메뉴 아래에 sub menu로 나옵니다. 즉 프로세스 매크로는 spss의 하나의 모듈 프로그램입니다. 설치하는 방법은 인터넷 검색하면 많이 나옵니다.   2) 매개변수가 들어가는 구조방정식 모형은 AMOS에서는 분석하는 사람이 직접 모형의 그림을 그려야 합니다. 그러나 프로세스 매크로는 SPSS안의 메뉴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모형을 그릴 수가 없습니다. 그 대신 모든 가능한 모형에 대해 모형 번호가 있어 메뉴에서 이 모형 번호를 지정하면 됩니다. 이 모형 번호는 매뉴얼에 보시면 나옵니다..

프로세스 매크로1

최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을 해 달라는 분들이 많은데요. 저는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먹고 살기 위해서 의뢰 들어오면 해 주기는 합니다. 그러나 학문적으로 매우 문제가 많은 접근법입니다.  하여간 이 방법은 Baron & Kenny(1986)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보는 방법에 대한 논문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B&K 논문은 조절효과 보는 법과 매개효과 보는 법 중 조절효과 보는 법은 아직도 여전히 쓰이고 있습니다. 흔히 논문 보면 위계적 회귀분석이라 해서 1단계에는 독립변수 X를 넣고 2단계에서는 독립변수 X에 추가로 조절변수 M를 투입변수로 넣고, 3단계에서는 2단계에 X, M에다가 추가로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의 상호작용항 X*M을 넣어서 회귀분석을 돌리는 방법입니다. 이 단계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