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세스 매크로/구조방정식과의 차이 3

구조방정식 차이1

최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을 해 달라는 분들이 많은데요. 저는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먹고 살기 위해서 의뢰 들어오면 해 주기는 합니다. 그러나 학문적으로 매우 문제가 많은 접근법입니다.  하여간 이 방법은 Baron & Kenny(1986)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보는 방법에 대한 논문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B&K 논문은 조절효과 보는 법과 매개효과 보는 법 중 조절효과 보는 법은 아직도 여전히 쓰이고 있습니다. 흔히 논문 보면 위계적 회귀분석이라 해서 1단계에는 독립변수 X를 넣고 2단계에서는 독립변수 X에 추가로 조절변수 M를 투입변수로 넣고, 3단계에서는 2단계에 X, M에다가 추가로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의 상호작용항 X*M을 넣어서 회귀분석을 돌리는 방법입니다. 이 단계적 ..

구조방정식 vs 프로세스 매크로1

오래간만에 글을 씁니다. 이번 학기 논문 시즌이 거의 끝나서 시간이 좀 나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연구모형에 매개변수가 들어 있는 경우 구조방정식이나 프로세스 매크로를 쓰는데 두 방법의 차이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1. 일단 학위논문의 경우 지도교수의 허락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지도교수가 요구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저널에 낼 경우 프로세스 매크로를 쓰는 것이 등재될 가능성이 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프로세스 매크로가 최근에 나온 방법이라 괜히 있어 보이거든요. 그리고 심사위원이 잘 모르기 때문에 통계 분석에서 그냥 넘어 가는 경우도 있고요. 프로세스 매크로는 Baron & Kenny(1986)의 방법을 개선 확장한 방법론입니다. B & K 논문에서 매개효과 검증과 조절효과..

프로세스 매크로와 구조방정식 차이

요새 프로세스 매크로를 이용하여 논문을 쓰려고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그럼 고민이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으로 할 건가 아니면 프로세스 매크로를 이용하여 할 건가 하는 점입니다. 전반적으로 간략하게 정리해서 한번 쓰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프로세스 매크로를 권하지 않습니다. 하여간 구조방정식과 프로세스 매크로의 차이점을 이야기 하겠습니다. 1. 일단 프로세스 매크로는 독립변수가 하나여야 합니다. 이에 반해 구조방정식은 여러개의 독립변수가 동시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독립변수가 여러개인데도 불구하고 프로세스 매크로를 쓰신다면 예를 들어 독립변수가 4개이면 프로세스 매크로를 각각 4번을 돌려야 합니다. 물론 프로세스 매크로에서 공변인(covariate)로 독립변수를 여러개 넣을 수 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