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도타당도분석요인분석크론바알파/확인적 요인분석 4

확인적 요인분석3

전에 이 글을 올렸는데 사라져 버린 것 같네요. 다시 올립니다.   1.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해 우리나라 책을 몇 권 보면 Hair 책을 번역한 수준인 것 같습니다. 네 사람이 지은 책이죠. 책의 예제를 보면 이 사람들도 전부 경영학 교수인 것 같고요. 하여간 이 책은 수리적으로 명쾌하게 이야기 하지 않아서 읽기 매우 불편합니다. 그래도 그 책에 참고문헌이나 책 등이 있습니다. 그러면 거기에 나오는 참고문헌이나 논문은 읽고 책을 써야죠. 자기가 쓰고 자기가 이해도 못하면 이걸 어떻게 책으로 냅니까. 나중에 Hair 책과 Lattin 책에 나오는 내용으로 조금 정리해 보겠습니다. 저도 엄청 헷갈립니다. 그래서 설문도구 개발 논문 의뢰가 들어오면 학과에서 비슷한 내용으로 통과한 선행논문을 보내달라고 합니다...

확인적 요인분석0

오늘은 확인적 요인분석에 대해서 써 보죠. 일단 구조방정식 그림 그리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 기초적인 책은 한 권 구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 자신의 연구모형이 매개변수가 들어가는 구조방정식 모형이 아니면 확인적 요인분석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 이야기는 구태여 확인적 요인분석이 꼭 필요한 절차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확인적 요인분석이 꼭 필요한 절차라면 구조방정식 모형이 유행하기 전에 나온 거의 모든 논문은 틀렸다는 이야기기 밖에 안됩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측정모형이라고도 합니다. 이에 반해 실제 구조방정식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모형을 인과모형이라고 하고요.   2.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비교. 탐색적 요인분석을 구조방정식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처럼 그림을 그려서 두 가지 방법을 비교..

확인적 요인분석2

확인적 요인분석은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할 경우만 합니다. 기타 다른 통계 분석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매개변수가 들어있는 프로세스 매크로 분석을 할 경우도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지 않습니다.   AMOS 구조방정식의 경우:  1) 연구변수는 타원형이나 원형으로 그립니다. 이는 연구변수를 직접 계산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즉 잠재변수로 취급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실제 작업시 데이터에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분석에서는 연구변수는 데이터 파일에 직접 데이터를 구해야 합니다.  2) AVE나 CR값은 본인이 공식을 찾아서 직접 손 계산을 해야 합니다. 아마 최근 AMOS 버젼에서 구해주지 않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