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세스 매크로/구조방정식과의 차이

프로세스 매크로와 구조방정식 차이

학위논문통계 2022. 11. 5. 13:12

 

요새 프로세스 매크로를 이용하여 논문을 쓰려고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그럼 고민이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으로 할 건가 아니면 프로세스 매크로를 이용하여 할 건가 하는 점입니다.

 

전반적으로 간략하게 정리해서 한번 쓰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프로세스 매크로를 권하지 않습니다. 하여간 구조방정식과 프로세스 매크로의 차이점을 이야기 하겠습니다.

 

 

1.

 

일단 프로세스 매크로는 독립변수가 하나여야 합니다. 이에 반해 구조방정식은 여러개의 독립변수가 동시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독립변수가 여러개인데도 불구하고 프로세스 매크로를 쓰신다면 예를 들어 독립변수가 4개이면 프로세스 매크로를 각각 4번을 돌려야 합니다.

 

물론 프로세스 매크로에서 공변인(covariate)로 독립변수를 여러개 넣을 수 있지만 이 공변인은 통제변수의 기능을 하지 독립변수의 기능을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프로세스 매크로에서 독립변수 한 개, 그리고 나머지 독립변수를 공변인으로 넣고 돌리면 매개효과는 독립변수 한 개의 해당하는 매개효과만 나옵니다.

 

우리가 구조방정식을 하는 이유가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들간의 많은 인과를 동시에 보려고 하는 것이거든요. 실제 사회현상이나 자연현상은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거든요. 이걸 회귀분석하듯이 따로 따로 분석하는 것과 결과가 다르다는 것이죠.

 

그런데 프로세스 매크로는 독립변수를 따로 따로 분석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프로세스 매크로는 주로 저널 논문에서 변수를 간략하게 해서 씁니다.

 

종속변수는 여러 개 있어도 문제가 없습니다. 종속 변수 각각 따로 독립적으로 실행하면 됩니다.

 

 

 

2.

 

프로세스 매크로는 조절변수로 연속형 변수를 써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구조방정식은 연속형 변수를 이진형 더미 변수로 만들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조절변수 불안이 있다고 하면 평균을 중심으로 “저 불안”, “고 불안”으로 0, 1로 코딩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구조방정식에 나오는 다중집단 분석이 바로 조절효과 보는 것입니다. 이게 프로세스 매크로에서는 조절된 매개효과라는 용어로 사용하는 것이고요.

 

매개된 조절효과는 사용하지 마시고요. 이건 수학적으로 조절된 매개효과와 다른 것 같지만 실제 현실에서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없고 결국 조절된 매개효과랑 같은 것입니다. 첨부된 이형권 논문을 참조하시고요. 프로세스 매크로를 사용하시려면 이 논문을 참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도 프로세스 매크로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물론 논란이 될만한 주장도 많습니다.

 

3.

 

프로세스 매크로는 실제 측정된 데이터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래서 모형에서도 네모로 변수를 그립니다. 이에 반해 구조방정식에서는 잠재변수라 하여 타원형으로 모형을 그립니다. 물론 자연현상에서 구조방정식을 사용하려면 사실상 측정된 변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네모로 표시도 하긴 합니다.

 

예를 들어 불안이라는 변수를 사용하려면 사회과학에서는 불안에 해당하는 몇 개의 설문문항을 만들어 측정합니다. 그럼 프로세스 매크로에서는 이 설문문항을 평균을 해서 실제 불안에 대한 데이터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나 구조방정식에서는 불안이라는 실제 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불안의 설문문항을 이용하여 불안이라는 변수를 잠재변수로 사용합니다.

 

그림을 그려 설명하면

위의 그림이 프로세스 매크로이고 아래 그림이 구조방정식입니다. 프로세스 매크로에서 네모는 실제 측정된 변수입니다. 따라서 설문문항의 평균을 구해서 원 데이터에 첨가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이에 반해 구조방정식은 불안이라는 변수를 실제 구할 필요가 없고 불안을 측정하는 설문문항인 불안1, 불안2, 불안3을 측정변수로 사용하면 됩니다. 그러나 실제 논문 쓰는 과정에서 기술통계와 상관계수 행렬을 넣어야 하기 때문에 불안, 소진, 이직의도의 설문문항의 평균을 구해야 합니다.

 

4.

 

프로세스 매크로는 Baron & Kenny(1986)의 회귀분석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통상 논문에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안합니다. 그러나 구조방정식은 완전히 다른 접근 방식으로 하기 때문에 관행상 확인적 요인분석을 합니다.